본문 바로가기

속보 노트

북한 코로나 상황 - 중국에 항공기 입국하여 의약품 옮긴 듯 (북한 코로나 감염자수 사망자수)

반응형

 

 

5월 17일 저녁 해외 속보에 따르면, 북한 항공기 여러개다 중국에 입국하여 의약품을 옮긴 정황이 있다고 보도 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북한은 새로 하루 동안 약 27만명이 발열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바 치료 의약품의 안정공급을 위해 군도 투입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북한 언론 매체들은 5월 16일 오후 6시까지 하루 동안 새로 약 27만 명의 발열자가 확인됐고 누계로 148만여 명이 발열했다고 전했습니다. 코로나 사망자도 6명 늘어 누계로 56명이 되었습니다.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 위원장의 명령으로 평양에서의 의약품 공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16일 조선인민군이 투입됐다고 전했습니다.

 

야채를 운반하고 있는 가게 북한의 종업원들 (5월 16일, 평양)

 


집회에서는 군 간부들이 의약품 공급은 단순히 질병 치료를 위한 것이 아니라 최고사령관의 열렬한 뜻을 인민들에게 전달하는 애국사업이라고 결의를 밝혔다는 겁니다. 국영 TV는 16일에 이어 17일에도 평소보다 이른 오전 9시부터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미디어를 활용해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대한 교육을 대대적으로 하겠다"며 시민들에게 대책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푸틴 애인 카바예바를 추방하라는 스위스 청원서 어떻게 될까?

 

푸틴 애인 카바예바를 추방하라는 스위스 청원서 어떻게 될까?

2022년 3월 중순 푸틴 대통령의 연인으로 알려진 체조 선수 아리나 카바에바를 추방하라는 스위스 청원서에 이미 6만 4천명 이상이 서명했다고 합니다.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이 추진

otherwise.tistory.com



한편 최근 중국과의 국경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북측에 사람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아 봉쇄가 철저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 언론은 북한 항공기가 17일에 걸쳐 복수 중국 선양으로 들어가 의약품을 운반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아래는 이 뉴스에 대한 해외 전문가들과 네티즌들의 견해입니다. 

 

 

"결국 북한의 근거지는 뒷배경인 중국이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원의 손길을 뻗쳐도 북한은 그 손을 잡을 생각이 전혀 없다는 겁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5월 20일 방한해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코로나 문제' 대응을 협의할 것 같은데, 받을 생각이 없는 나라 지원을 논의해도 무의미할 것 같습니다.

 

중국의 의료지원 결과 북한의 건국 이래 대동란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 다시 미사일과 핵실험 움직임이 가시화될 것입니다. 정치국 회의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간부들에게 방역대전 승리를 무력으로 뒷받침하라고 격문을 날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핵 대처법은 북한 중국 간에 쐐기를 박아 이반시키는 데 있지만 지금 우리 식으로는 무리일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 나이 가족 부인 아내 올레나 머무는 곳, 과거 직업과 지금

 

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 나이 가족 부인 아내 올레나 머무는 곳, 과거 직업과 지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지 2주일 남짓한 지난 3월 중순 즈음에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 부인 올레나 및 그의 가족에 대한 기고글입니다. 제렌스키 대통령의 부인 올레나 여사

otherwise.tistory.com

 

"세계 대부분이 위드코로나라는 생활환경에 익숙해졌다고 생각하면 북한에서는 지금쯤 감염이 확산되고 있다는 신기합니다. 이게 진실한 기사라면 전 세계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2년 정도 전에 북쪽에는 감염자가 없다고 보도된 게 사실이었나 싶기도 합니다. 그 당시에는 절대 거짓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쯤이면 대감염이 된 걸 보면 조금 헷갈립니다."

 

 

"북한의 진짜 사망자 수는 얼마나 될까요? 일정 수의 중증자가 있을 것이고 호흡기나 의사 등은 전혀 부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당히 비참한 상황을 상상합니다. WHO는 백신 접종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공수하는 의약품은 해열제나 한방적인 감기약입니다. 백신은 종류에 따라 냉장 관리가 필요하고 주사하는 인력도 준비가 어렵습니다."

"다른 코멘트에도 있지만 아무리 오미크론 변이가 약화되어 있다고 해도 발병자수와 사망자 수가 불균형을 보입니다. 북한의 의료 체제가 충실하다고 말하기 어려울 테고요. 북한의 코로나 발생 실태가 어떻게 될지 좀 상상이 안 갑니다." 

 

반응형
그리드형